본문 바로가기
주식/2차전지

2차전지 관련자료

by AllMoney 2023. 3. 7.
728x90
반응형
######2차전지가능성과체크포인트
요즘같은 글로벌 불경기에
이정도 성장확률 큰게 있나
차별화 선택집중 당연함.
 
성장 어닝 정책 
수급과 추세로 판단.
과정관리도 용이
####2차전지 최근 투자포인트 요약
1. Up-stream 확보와 전구체 국산화
2.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3. 테슬라 4680 내재화
4. 삼성SDI 밸류체인
 
#2차전지 먹이사슬 
리튬 > 양극제+페배터리 > 셀 > 전기차
#배터리 트렌드가 JV에서 직납으로 바뀌는중
 소재/장비 업체들의 협상력은 높아지고 마진은 더욱 좋아지는 구조로 변화중 
 
#인터베터리2023 참가기업
 
1. SK온
2. 고려아연(황산니켈, 동박)
3. 나노팀(TIM, 방열소재)
4. 대보마그네틱(전자석 탈철기)
5. 동화일렉트로라이트(전해액)
6. 명성티엔에스(분리막 생산장비)
7. 비츠로셀(일차전지)
8. 삼성SDI
9. 성일하이텍(2차전지 재활용)
10. 신흥에스이씨(배터리모듈)
11. 아이에스티엠씨(아이에스동서, 2차전지 재활용)
12. 에코프로비엠(양극재)
13. 엘앤에프(양극재)
14. 원익피앤이(2차전지 생산장비)
15. 원준(양극재, 음극재 생산장비)
16. 이엔플러스(2차전지 도전재)
17. 일진전기(2차전지 실리콘합금 음극재)
18. 자비스(X-ray 검사기)
19. 제이오(습식형 분쇄 및 분산 장비)
20. 엔켐(전해액)
21. 티라유텍(스마트팩토리 솔루션)
22. 티알에스(이녹스, 2차전지 음극재용 Si Powder, 전자재료용 SiC Powder)
23. 파워로직스(배터리팩, ESS, 배터리팩장비)
24. 포스코케미칼(양극재, 음
 
#####2차전지 장비
#2차전지 장비 (1)믹싱
1) 공정 CAPEX 내 비중 증가(5%->11%)
2) 배터리 셀 스펙은 균일한 슬러리에서 결정(하이니켈로 갈수록 균일하게 섞는 믹싱 시스템이 중요)
3) 높은 진입장벽(정형화되지 않은 배터리 셀 스펙에 따른 맞춤형 설계가 필요하며, 기존 레퍼런스를 가진 업체들의 독보적인 입지)
https://m.blog.naver.com/survivaldopb/223033768936
 
 
2차전지 장비 (2)코터(코팅)&압연
https://m.blog.naver.com/survivaldopb/223034996901
 
######2차전지 공정
#건식 #전극공정 
 
■ 현황
- 모든 배터리셀 업체들의 경우 원가절감을 원하고 있음
- 전극 공정의 경우 Coating 공정에서 현재 액체의 슬러리를 전극에 바르고 Drying 하는 공정이 있음
- Drying 하는 공정은 공장의 Foot Print를 많이 차지하고(100m가 넘음) 이에 따라 생산성 증가 에 제한이 있음
 
■ 기술 효과
- 현재 액체 슬러리 상태가 아닌, 고체 상태의 Powder에 Binder를 섞어서 Drying하는 공정을 Skip하는 것이 기술의 목표
- 이에 따라 생산 Cost가 20% 저렴해지고, 기존보다 에너지 밀도 60%가 향상된 400와트급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음
- 또한 현재 습식 공정에서는 용매로 인해 1kg당 42kg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있으며, 건식공정 도입 시 무탄소 제작이 가능함
-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 습식 화학 프로세스가 적합하지 않음, 건식 공정이 더욱 이상적, 건식공정 응용으로 전고체 배터리의 기술 상용화가 앞당겨 질 수 있음
 
■ 필요 기술
- PTFE 불소수지 바인더
- CNT도전재
- 실리콘음극재
- Roll Press 기술(가열)
- 믹서, 코터, 프레스의 통합 솔루션
 
■ 전고체 배터리 필요 기술
- 고분자 전해질과 액체 전해질 혼합한 젤라이트 형태
- 액체 전해질 양을 최소화한 반고체 형태
- 액체 전해질을 대신한 무기계 전고체 소재 하이브리드 형태
- 황화물계는 수분에 약해서 가스 생성 되는 문제 해결이 필요, 상용화에 가장 멀리 있는 기술(LGES 기준 2030년 전망)

 

반응형